Adding Google Analytics To Jekyll
지킬(Jekyll)에 Google Analytics 추가하기
Google Analytics로 지킬 블로그 방문 통계를 알아보자!
1. Google Analytics 계정 만들기
1.1 Google Analytics 접속
- Google Analytics에 접속합니다.
- Google 계정이 없다면, 먼저 Google 가입부터 진행해주세요!
 (Google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을 경우, Google 로그인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.)
1.2 Google Analytics 가입
-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한 상태로 위 Google Analytics링크에 접속하면 아래 화면이 나타납니다.
- 오른쪽에 있는 가입을 선택합니다.
 
1.3 세부 정보 입력
- 먼저 가입할 계정의 이름을 입력합니다.
 
 
- 계정 데이터에 대한 권한을 설정합니다.
 
 
- 권한 설정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.
1.4 통계 플랫폼 선택
- Google Analytics를 적용할 플랫폼을 선택합니다.
 (우리는- Jekyll에 대한 통계를 볼 목적이기 때문에- 웹을 선택하면 됩니다.)
 
 
- 선택이 완료되었다면, 다음으로 넘어갑니다.
1.5 속성 설정
- Google Analytics를 적용할 웹 사이트의 이름과 URL, 카테고리와 시간대를 입력합니다.
 
 
- 모두 입력한 후, 만들기를 클릭합니다.
1.6 Google Analytics 약관 동의
- Google Analytics를 사용하기 위해 약관에 동의해줍니다.
 
 
1.7 Google Analytics 가입 완료
- 성공적으로 가입이 되었다면 완료메시지가 나타납니다.
 
2. Jekyll 설정 바꾸기
- 테마에 따라 약간씩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
2.1 gtag.js 복사
- Google Analytics왼쪽 하단의- 관리탭을 선택합니다.
 
 
- 속성의- 추적 정보에서- 추적 코드탭을 선택합니다.
 
 
- 추적 ID와- Global Site Tag(gtag.js)부분을 복사해주세요.
2.2 gtag.js 붙여넣기
- Jekyll의- _include폴더에- analytics.html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.
 - analytics.html은- Global Site Tag(gtag.js)를 넣기 위해 필요한 파일입니다. 꼭- analytics.html로 파일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- 제 블로그에 적용한 TeXt테마의 경우,_include/analytics-providers의google.html이analytics.html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
   
- header.html이나- footer.html안에 해당- gtag.js를 붙일 수 있도록 설정해 둔 테마도 있습니다!
 
- 파일이 준비 되었다면, 복사해둔 gtag.js를 붙여넣기 해주세요.
 <!-- Global site tag (gtag.js) - Google Analytics --> <!-- id 부분에 본인의 추적 ID를 쓰시면 됩니다. --> <!-- ex. UA-123456789-1 --> <script async src="https://www.googletagmanager.com/gtag/js?id=본인의 추적 ID"></script> <script> window.dataLayer = window.dataLayer || []; function gtag() { dataLayer.push(arguments); } gtag('js', new Date()); // 마찬가지로 본인의 추적 ID를 넣어주시면 됩니다. gtag('config', '본인의 추적 ID'); </script>
2.3 analytics import 하기
- 본인의 블로그 기본 틀 html에 위에서 작성한analytics.html를include해줍니다.- TeXt테마의 경우- base.html에 이미- include되어 있습니다!
- 아래 코드가 추가된 곳이 없으면 추가해주세요.
  
 
2.4 config 설정 변경
- _config.yml파일에서- analytics나- google analytics를 찾아주세요.
 - ... analytics: provider: google ... google: tracking_id : 본인의 추적 ID ...
- analytics의- provider를- google로 바꿔줍니다.
- google의- tracking_id부분에는 본인의 추적 ID를 입력합니다.
완료!
-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배포를 해주시고, 본인 블로그에 접속한 후 Google Analytics를 확인해보면 실시간으로 활성 사용자가 변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!
 
- 실시간 보고서를 확인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.